< HPLC 성분분석 연구 사진 >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한약재들은 한가지 단일성분이 아닌 다양한 유효성분들을 가지고 있습니다. 이들은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
                  약효를 높이기도 하고 서로 상쇄작용을 통해 약효를 낮추기도 합니다. 이러한 성분들은 HPLC(High Perfomance
                  Liquid Chromatography)를 이용하여 성분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.
                  또한 한약재의 수많은 성분 중에 대표가 되는 한가지 성분을 지표성분이라고 하는데 그 지표성분의 분석을
                  통해 해당 한약재의 함량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. 포레스트 통합 연구소는 성분분석을 통해 약의 근거마련에
                  힘쓰고 있습니다.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    TAF의 성분분석 크로마토그램
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TAF(FDY003)의 유효성분들의 분석 chromatogram, (a) Cordycepin, (b) caffeic acid, (c) 6, 7-dimethylesculetin, (d) chlorogenic acid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황련해독탕의 지표성분 분석 크로마토그램
            
            포레스트 황련해독탕 약침 內 황련 지표성분인 berberine 및 치자 지표성분인 geniposide 함량 高.
            
            TAF의 지표성분 method validation
            
            < 직선성 >
            
            < 특이성 >
            
            < 정밀성 >
            
            < 정확성 >
            
            < 농도별 분석 chromatogram  >
            
               TAF 약침 유효성분 분석은 직선성·특이성·정밀성·정확성 등 Method Validation을 진행 통해 효용성 증명 完.
               
 단순 특정 성분 유무 뿐만 아니라 정확한 함량 측정 통해 약효 계산.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추출용매별 유효성분 변화와 해당 성분의 method validation
            
            < 용매별 특정성분의 함량비교 그래프  >
            
            < 정밀성  >
            
            < 회수율  >
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< 정확성  >
            
               재생약침의 개발 中 추출용매 선정 단계 內 유효성분 우슬의 20-hydroxyecdysone과 두충의 pinoresinol diglucoside의 Method Validation 실험결과 도출.
                유효성분 함량 및 수율 감안 추출용매 선정.